지붕디자인 2

징크소음에 관하여 ①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

가장 많이 본 현장 즉 철콘건물의 레미콘 양생이 끝난 상태의 모습 입니다. 철근을 배근 한 후 레미콘을 타설 후 양생을 거쳐서 마감재인 징크 작업을 시작 하기 직전의 지붕 슬라브 상태이지요. 상기 사진의 현장은 경사각 23도 정도로 경사가 그리 심하지 않은 구조 입니다 현실적으로 많이 사용 되는 경사각은 11도 ~ 45도의 범주, 대부분은 20도 ~ 30도 이내 (참고로 이때 아주 강한 비가 내리더라도 분명 내부에서 소음이랄 정도의 음 전달은 없습니다.) 위 사진은 징크작업의 기초인 하지작업의 구조틀을 형성 하는 각관하지 작업 입니다. 양생이 끝난 콘크리트위에 앙카와 화스너를 이용하여 각관을 고정하는 작업으로서, 50mm 정도의 천공으로 앙카를 박은 후 화스너를 용접으로 접목하고, 화스너에 각관을 용접으..

징크 공사의 맹점

문의 연락 중에 징크공사에 대한 후유증이랄까! 미흡함과 아쉬운 점을 토로 하는 연락을 많이 받게 된다 심지어는 바로 준공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주택인데도, 수정 작업이 가능하느냐는 연락이었다 너무 의아하여 현장방문 스케즐을 잡고 방문확인 해 봤더니, 그렇게 고약하게 시공 된 사례는 아니었으나 초보수준의 시공자들이 하는 보편적인 방법이었다 건축주에게 충분히 설명을 전했는데도 불구하고 기존 후레싱을 철거하고, 다른 디자인으로 시공 하고 싶다하여 서너가지의 디자인을 제안하여 시공을 해 드렸다 이런 문제들은 분명 발주자와 시공자와의 소통의 문제 인 것이다 - 견적요청시 디자인에 대한 의향을 전하지 못한 점 - 시공자 역시 디자인에 대한 표현을 하지 않은 점 징크는 분명 건축물의 외장재로서 디자인에 대한 부분이 ..